'핵소 고지'(Hacksaw Ridge)(1)

WWII 배경 영화 (VIII)

'오키나와 전투'에 의무병으로 참전한

데스몬드 T. 도스의 실화를 다룬 전기·전쟁영화

 

 

이번에 소개할 '핵소 고지(Hacksaw Ridge)'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없이 75명의 부상병을 구한 의무병 데스몬드 T. 도스의 실화를 다룬 전기·전쟁 영화이다. 2016년 서미트 엔터테인먼트 배급. 감독 멜 깁슨. 출연 앤드류 가필드. 러닝타임 139분.

오키나와 전투(沖?戰, Battle of Okinawa) 또는 미군 코드네임인 ‘아이스버그 작전’(Operation Iceberg)은 태평양전쟁이 막바지이던 1945년 4월1일부터 6월23일까지 83일간 벌어진 전투로, 이보다 앞선 2월19일~3월26일 사이에 치른 이오지마 전투(硫黃島戰)에 이어 최초로 일본 본토 내에서 벌어진 미군과 일본군의 전면전이다. [註: 당초 미국은 중국의 일본 점령지를 먼저 탈환하려 했다. 그런데 1944년 4월 일본이 최후의 대작전인 '이치고작전(一號作戰)', 이른바 '대륙타통작전(大陸打通作戰)'으로 총공세를 퍼붓자 중국군의 방어선이 붕괴되어 해안가가 전부 일본군의 수중에 떨어졌다. 한편 미국은 중국 남부 구이린(桂林)에 일본 본토를 공격하기 위한 비밀 공군기지가 있었는데, 당시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이 이끄는 공산당 토벌에만 골몰하던 국민당군의 장제스(蔣介石, 1887~1975)가 제대로 싸우지도 않고 내주는 바람에 크게 놀란 미국이 중국 전선에 대한 총 점검을 하는 계기가 되었고, 나비효과로 태평양 전쟁의 미군 작전계획에 커다란 변화를 주게 되었다. 결국 미 육군 항공대의 요구에 부합되면서 미 해군이 주도적으로 전황을 이끌 수 있는 전장으로 이오지마와 오키나와 상륙으로 작전을 바꿨다. 결과적으로 일본 본토 공격이 예상보다 빨라졌고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앞당긴 셈이 되었다.]

 

 

일본제국은 본토로의 침공을 막기 위해 오키나와 전투에서 결사항전하였다. 그 결과 오키나와 전투의 최고 격전지 중 하나가 류큐 왕국(琉球王國)의 요새였던 우라소에(浦添) 성 근처의 '마에다 고지' 전투였다.

'마에다 고지'는 148m나 되는 깎아지른 절벽을 두고 '활톱(또는 전기톱)' 모양의 절벽이라는 뜻으로 '핵소(hacksaw) 고지'로 명명(命名)했다고도 하고, 이 고지에서 마치 톱으로 잘리듯 수많은 미군이 사상(死傷) 당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도 한다.

 

 

이 전투에서 미군은 최초로 태평양전쟁에서 가장 큰 피해를 냈으며, 일본 측은 사령관, 참모들을 비롯하여 일반군인들도 단검, 수류탄 등으로 자결했을 뿐만 아니라 오키나와 주민들까지 가족끼리 서로를 죽이는 집단 자살의 비극이 일어났다. 일제는 이를 '옥쇄(玉碎, 명예나 충절을 위해 깨끗이 죽는 것)'라고 미화하였다.

미군은 상륙 전 한 달 동안 3만 발에 달하는 포탄을 상륙지역에 쏟아 부었다. 일본군은 이에 우시지마 미쓰루(牛島?, 1887-1945) 중장과 죠 이사무(長勇, 1895~1945) 소장 등을 보내 류큐 왕국의 궁성이었던 슈리성(首里城)을 일본 육군 제32군의 사령부로 개조하여 방어진지를 구축하게 했다.

 

 

일본군의 사령부 슈리성은 석회암지대로서 '가마(ガマ)'라고 불리는 많은 석회동굴이 발달해 있는데, 일본군은 이 가마들을 기지로써 유용하게 활용하여 미군이 큰 피해를 입었다.

미군은 수류탄과 화염방사기로 동굴 진지를 하나하나 제거했는데, 이로 인해 많은 시간이 걸렸고 인명피해도 늘었다. 

 

한편 4월7일에는 이토 세이이치 제2함대사령관이 이끄는, 그나마 남은 7척의 연합 함대와 당시 세계 최대 전함인 야마토가 오키나와 보우노사키 해협에서 미군 전투기들의 급강하 폭격으로 격침되었다.[註: 이토 세이이치(伊藤整一, 1890~1945)는 오키나와전투에서 전함 야마토(大和)가 침몰 위기에 빠지자 절망적인 상황이라는 것을 깨닫고 7천 명의 부하를 살리기 위해 오키나와 돌입작전 취소를 명령했다. 본래 작전 중지는 연합 함대사령부나 군령부의 권한이며, 현장지휘관에게는 그 권한이 없다. 이토는 구 일본제국 해군에서 유일하게 현장 판단으로 작전 중지 명령을 내린 사령관이다. 결국 이토는 함장 아루가 고사쿠(有賀奉作, 1897~1945) 대좌와 함께 퇴함을 거부하고 전사했다.]

일본군은 미군에 의해 방어선이 뚫릴 때까지 싸우고, 뚫리면 다음 방어선으로 후퇴했다. 따라서 미군은 하나하나씩 점령해야 했다. 그러나 남쪽 진지를 점령하기가 너무 어려워지자 섬의 남쪽에도 상륙을 감행하여 격렬한 전투 끝에 미국이 슈리성을 장악했고, 일본군은 병력의 절반을 잃었다.

 

일본군 사령부는 섬 남쪽지역의 마부니(摩文仁) 동굴로 퇴각하여 결전을 준비했다. 그러나 6월11일에 오로쿠 지구에서는 일본 해군사령관 오타 미노루와 군대 대부분이 전멸했고, 6월15일에 일본군의 남은 병력 6천 명이 미군의 화력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됐다.

 

 

6월18일 미군 지휘관이던 사이먼 B. 버크너(Simon Bolivar Buckner Jr, 1886~1945) 중장이 일본군의 포격으로 급작스럽게 전사하지만 전세는 되돌려지지 않았다. 6월19일에는 일본군 사령부 참모까지 전사했으며, 우시지마 미쓰루 중장과 죠 이사무 소장이 6월22일 새벽 3시40분에 할복 자살함으로써 전투는 종결되었다. [註: 영화 밖 일본군의 뒷이야기- 일본 육군 제32군 고급참모 중 야하라 히로미치(八原博通, 1902~1981) 대좌가 있었다. 그는 대위 시절 미-일간 장교 교환교류로 미국 유학을 해서 미국을 잘 이해했고, 일본 육군대학 교관을 거쳐 1944년 3월 오키나와 방위를 담당하는 32군의 고급 참모가 되었다. 일본군이 펼친 방어전술은 그가 입안한 것으로 적군인 미군도 높게 평가했다. 전투 말기에 상관인 우시지마 중장과 죠 소장이 할복 자살할 때 야하라 대좌에게 반드시 생존하라고 명령했고, 이로써 그는 미군의 포로가 되어 살아남았다.]

이 전투로 일본군은 약 7만1,000명이 전사 또는 실종됐으며 부상자는 1만5,000명, 오키나와 민간인 8만 명이 사망했다. 한편 미군은 전사 및 실종 총 2만7,393명, 부상자는 5만5,000명으로 일본군의 사상자와 흥미로운 대조를 이룬다.
 이 전투기간 당시 한국인(조선인) 3,461명이 군인이나 군속(군무원)으로 동원되었고, 그 중 확인된 사망자는 701명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오키나와 전적 국정공원(沖?戰跡國定公園) 위령비 명단에 기록된 한국인 사망자는 464명뿐이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CA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