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지나고 나면 모든게 추억
-내 인생의 봄날은 바로 지금
수채화 같은 대청호반의 봄날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오늘도 옷고름 씹어가며 산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알뜰한 그 맹세에 봄날은 간다’(손로원 작사, 박시춘 작곡, 백설희 노래 ‘봄날은 간다’)
이 ‘봄날은 간다’는 한국 가요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진다. 특히 가사의 절절한 서정적 표현과 애끓는 곡조의 호소력이 일품이다.
0…언젠가 한국의 시인 100명에게 자신의 애창곡이 뭐냐고 물었더니 이 ‘봄날은 간다’를 제일 많이 꼽았다고 한다. 어떤 시인은 “이 노래만 들으면 괜스레 목이 멘다”고 했다.
정선(精選)된 단어만을 골라 쓰는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노랫말로 예전 대중가요 가사를 선정한 것은 그만큼 이 노래가 품격이 있다는 뜻이리라.
0…6.25전쟁 직후인 1953년 가수 백설희씨에 의해 발표된 이 노래는 7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한국인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으며 애창되고 있다.
중장년층 사이에서 주로 불리던 이 노래는 가왕(歌王) 조용필과 이미자, 장사익, 심수봉 등이 잇달아 리메이크했으며, 동명(同名)의 영화와 악극으로 만들어져 히트하기도 했다.
나는 학창시절 친구들과 막걸리 잔을 기울이며 이 노래를 즐겨 불렀다. 시대(군사정권 시절)가 암울해서 그랬는지, 부질없는 허무주의에 빠져 그랬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애상(哀傷)적인 곡조가 가슴을 촉촉하게 만들었다.
0…이 노래는 요즘 같은 계절에 잘 어울리거니와, 나는 한층 더 시적(詩的)인 2절 가사를 특히 좋아한다.
‘새파란 풀잎이 물에 떠서 흘러가더라/ 오늘도 꽃편지 내던지며/ 청노새 짤랑대는 역마차 길에/ 별이 뜨면 서로 웃고, 별이 지면 서로 울던/ 실없는 그 기약에 봄날은 간다.’
노랫말이 어쩌면 한 폭의 그림이요, 가슴 뭉클한 서정시다.
오가는 차 안에서 홀로 이 노래를 듣노라면 마음이 착 가라앉고 아련한 옛 추억 속으로 빠져든다. 처연하고 구성진 곡조도 그렇거니와 노랫말이 애잔하기 그지 없어 코끝이 찡해지곤 한다.
0…이 노래가 특히 가슴에 아린 것은 27년 전 이맘때 어머니와 큰형님을 1년 간격으로 잇달아 저 세상으로 보낸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에게 봄은 환희보다는 아련한 슬픔으로 다가온다.
부모님과 큰형님이 묻혀 계신 대청호반엔 지금쯤 철쭉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을 것이다. 어머님을 묻고 오던 날 황혼녘에 걸린 초승달이 처연했다.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가는 인생/ 세상만사가 뜬구름 같구나/ 묘지에 성토하고 장례객 다 떠나니/ 쓸쓸한 산 위에 황혼달만 처량하네(空手 來空手去 世上事如浮雲/成墳土 客散後 山寂寂 月黃昏)
0…오는 듯 가는 듯 모르게 봄날이 지고 있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 했듯, 봄은 오는 듯 마는 듯, 존재하는 듯 마는 듯하다 가버리기에 더 아쉽다.
순간처럼 왔다 속절없이 피었다 지고 마는 짧은 생명이 우리네 모습과 닮았다. 잠시 피었다 지고 마는 것이 어디 꽃 뿐일까. 세상사 모든 일이 계절 따라 세월 따라 흘러가고 만다.
우리는 흔히 근심걱정 없이 행복했던 시절을 회상하며 “그때가 봄날이었다”고 한다. 봄날은 그렇게 포근하고 감미롭고 근심걱정이 없는 계절의 이미지다.
0…내 인생의 봄날은 언제였을까. 혼자 있을 때 조용히 옛날을 돌이켜 보면 모든 것이 아련한 봄날의 꿈결처럼 느껴진다.
아지랑이 아롱거리는 봄날, 밭일 나가시는 어머니를 따라가 시냇가에서 개울 치고 가재를 잡던 어린 시절, 이상과 꿈도 많았던 사춘기를 거쳐 청춘이 만개(滿開)했던 대학시절, 예쁜 아내를 만나 달콤한 사랑에 빠져 지낸 신혼시절… 이제 그런 날들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다.
비록 물질적으론 빈한(貧寒)했지만 그런 것들이 불편하게 느껴지거나 심리적으로 위축되지 않았고 마음은 마냥 평화로웠던 시절.
지금은 그 시절에 비하면 부족할 게 별로 없건만 언제나 끝없이 욕심을 내면서 스스로를 불만족 속으로 몰아넣는다.
0…생각해보면 그리 특별할 것도 없는 시절의 추억들이 가슴 아리게 그리운 것은 그런 날들이 이제 다시는 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리라.
그러고 보면 내 인생의 봄날은 언제나 지금이다. 힘들고 어려운 지금 이 순간도 세월이 흐르고 나면 모든 게 그립고 ‘그때가 봄날이었다’고 회상하게 될 것이다. 그러니 오늘의 이 화사한 봄날을 감사하고 여유있게 음미할 일이다.
0…‘목련이 지는 것을 슬퍼하지 말자/ 피었다 지는 것이 목련뿐이랴/ 기쁨으로 피어나 눈물로 지는 것이 어디 목련뿐이랴/ 우리네 오월에는 목련보다 더 희고 정갈한 순백의 영혼들이/ 꽃잎처럼 떨어졌던 것을/…눈부신 흰빛으로 다시 피어/ 살아 있는 사람을 부끄럽게 하고/ 마냥 푸른 하늘도 눈물짓는 우리들 오월의 꽃이/ 아직도 애처로운 눈빛을 하는데/ 한낱 목련이 진들 무에 그리 슬프랴…’.
1988년, 당시 나이 열여섯, 중학교 2학년 학생이던 박용주 시인이 쓴 이 시는 언제나 나를 겸허히 되돌아 보게 한다.
0…계절의 여왕이라는 5월, 마냥 푸르고 아름다워야 할 5월이 모국에선 언젠가부터 눈물과 회한의 계절이 되고 말았다.
벌써 44년째, 광주의 그날 참극은 아직도 진상규명이 덜 된 채 갑론을박이 되풀이 되고 있다. 그나마 국가기념일 지정까지 온 것을 보면 역사는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이 분명하다. (사장)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