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경전해설(112)-무자론(繆刺論)(7)

 

(지난 호에 이어)

 “대체로 각 경맥의 질병 치료에 침법을 쓸 때 각 경맥이 지나는 곳에 병변이 나타나지 않으면(사기가 낙맥에만 있으므로) 무자법(繆刺法)을 씁니다. 귀가 안 들리면(이롱.耳聾) 수양명경의 상양혈(商陽穴)에 침을 놓는데 만약 낫지 않으면 수양명경맥이 통과하는 귀 앞의 청궁혈(聽宮穴)에 침을 놓습니다. 충치에는 수양명경의 상양혈에 침을 놓는데 낫지 않으면 수양명경맥이 치아 속으로 통과하는 경맥에 침을 놓으면 곧바로 낫습니다. 사기가 오장 사이에 침범하면 경맥이 당기면서 통증이 나타났다 멎었다가 합니다. 이 때는 그 병정을 살펴서 손톱과 발톱 위(井穴)를 무자하고, 낙맥을 살펴 기혈이 울체된 곳의 혈을 출혈시키는데 격일에 한 번씩 침을 놓습니다. 한 차례 침을 놓아 낫지 않으면 연이어 다섯 차례 침을 놓으면 낫습니다. 수양명경의 병사가 족양명경으로 들어가면 윗니가 당기고 치아와 입술이 시리고 아픕니다. 이 때는 손등의 낙맥에 울혈이 있는지를 살펴서 출혈시킨 다음 족양명경의 둘째 발가락 발톱위(여태혈)에 한 차례 침을 놓고, 둘째손가락 손톱위(상양혈)에 좌우 한 차례씩 침을 놓으면 곧바로 낫습니다. 왼쪽의 병에는 오른손에 침을 놓고, 오른쪽의 병에는 왼손에 침을 놓습니다.”

 

 (治諸經刺之, 所過者不病, 則繆刺之. 耳聾, 刺手陽明. 不已, 刺其通脈出耳前者. 齒?, 刺手陽明. 不已. 刺其脈入齒中, 立已. 邪客於五臟之間, 其病也, 脈引而痛, 時來時止. 視其病, 繆刺之於手足爪甲上. 視其脈, 出其血, 間日一刺. 一刺不已, 五刺已. 繆傳引上齒, 齒脣寒痛. 視其手背脈血者去之, 足陽明中指爪甲上?, 手大指次指爪甲上各一?, 立已. 左取右, 右取左)

 

 “사기가 수소음경.족소음경.수태음경.족태음경.족양명경의 낙맥을 침범하면 이 다섯 개의 낙맥은 다 귓속에 모였다가 머리의 왼쪽 모서리로 올라가는데, 이 다섯 낙맥의 기가 모두 고갈되면 맥기가 요동하고 형체의 지각기능이 상실되므로 그 모양이 마치 죽은 사람 같으므로 시궐(尸厥. 갑자기 인사불성이 되어 시체와 같아지는 병증)이라고 합니다.”

 

(邪客於手足少陰太陰足陽明之絡, 次五絡, 皆會於耳中, 上絡左角, 五絡俱竭, 令人身脈皆動, 而形無知也, 其狀若尸, 或曰尸厥.) (중략)

 

 “대저 침을 놓는 방법은 먼저 환자의 경맥을 따라 절진하여 질병의 허실을 파악하여 이를 조리해야 합니다. 만약 경맥의 기혈이 조화롭지 않으면 거자법(巨刺法)으로 치료하고, 통증은 있으나 경맥에 병변이 없으면 무자법(繆刺法)으로 치료하며, 환자의 피부에 어혈이 몰린 낙맥이 보이면 침을 놓아 어혈을 모두 빼줍니다. 이것이 무자하는 방법입니다.”

 

 (凡刺之數, 先視其經脈, 切而從之, 審其虛實而調之. 不調者, 經刺之. 有痛而經不病者, 繆刺之. 因視其皮部有血絡者, 盡取之. 次繆刺之數也)

 

 무자론에 대한 최초 해설시 거자법과 무자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두 자침 방법은 왼쪽에 병이 있으면 오른쪽을 취하여 침을 놓고, 오른쪽에 병이 있으면 왼쪽에 침을 놓은 것은 같으나 거자법은 경맥에 침을 놓고 무자법은 낙맥에 자침한다는 점이 다르다고 하였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CA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