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목에 핏대를 세우는 이유는 ‘내가 옳다’고 주장하기 위해서다. 옮음의 위치를 선점하는 것은 곧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일과 관련된다. 옳고 그르고, 선하고 악함이 엇갈리는 삶의 상황에서 사람들은 착하고, 옳다는 평판을 얻기 위해 평생 애쓴다.
그런 면에서 구약성경 창세기 38장은 인간들의 보편적 생각을 한참 벗어난다.
유다는 아버지 야곱과 어머니 레아 사이에 태어난 넷째 아들이다.
그는 부모와 형제들을 떠나 가나안에서 살았다. 그곳 여자와 동침해 아들 셋을 낳는다. 그리고 큰 아들 ‘엘’을 다말이라는 여자와 결혼 시켰다. 그런데 장자 엘이 여호와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악했으므로, 죽이셨다. 유다는 대를 잇기 위해 둘째 아들 오난을 시켜 형수와 동침하도록 한다.
“오난이 그 씨가 자기 것이 되지 않을 줄 알므로 형수에게 들어갔을 때에 그의 형에게 씨를 주지 아니하려고 땅에 설정하매”(9절).
이 때문에 여호와께서는 오난도 죽이신다.
아들 둘이 잇따라 죽자, 유다는 셋째 아들 셀라도 같은 일을 당할까 봐 아예 며느리 다말을 친정으로 보내버린다. “셀라가 장성할 때까지 수절하고 기다리라”는 핑계를 댔지만 사실상 내쫓은 것이다.
그리고 유다는 그 무렵 아내 수아가 죽는 슬픔도 경험했다.
아들 셀라가 성인이 되었지만 유다는 며느리 다말을 부르지 않았다. 이미 아들 둘과 아내까지 잃은 마당에 셋째 아들까지 먼저 보내고 싶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루는 유다가 친구와 함께 양털을 깎으러 ‘딤나’라는 곳으로 가게 됐다. 이 소식이 며느리 다말에게 전해졌다.
“(다말은) 과부의 옷을 벗고, 너울을 써서 얼굴을 가리고, 딤나로 가는 길에 있는 에나임 어귀에 앉았다. 그것은 막내 아들 셀라가 이미 다 컸는데도, 유다가 자기와 셀라를 짝지어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14절)
유다는 길가에서 기다리던 며느리 다말을 창녀로 생각하고, "너에게 잠시 들렀다 가마. 자, 들어가자"(16절) 하고 동침했다.
석 달쯤 지난 다음에, 유다는 며느리 다말이 창녀짓을 하여 임신까지 했다는 소문을 들었다. 유다는 “그를 끌어내서 화형에 처하여라”고 분노했다. 다말은 창녀 분장을 하고 유다를 만났을 때 담보로 받았던 ‘도장과 허리끈과 지팡이’를 내밀었다.
그러자 유다는 그것들을 알아보고 이르되 “그는 나보다 옳도다. 내가 그를 내 아들 셀라에게 주지 아니하였음이로다” 하고 말했다.
‘옳도다’라는 히브리어 단어는 ‘올바르다’ ‘의롭다’ ‘정당한 이유를 가지다’ 등의 뜻을 가진 단어다. 헬라어로 번역된 단어 역시 ‘의롭다고 간주되다’는 뜻을 품고 있다. 며느리가 창녀 행세를 하며, 시아버지의 아이를 가진 일을 두고 ‘의롭고, 정당한 이유가 있으며, 올바르다’고 평가를 내린 것이다.
유다는 자신이 당시 관습이나 문화적 전통을 어겼기 때문에 며느리가 더 옳다는 뜻으로 사용했는지 모르지만 성경은 다른 의미도 전달하고 있다.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예수님의 족보에 유다가 올라 있다.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들을 낳고,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마태복음 1장).
“그 위는 베레스요, 그 위는 유다요, 그 위는 야곱이요, 그 위는 이삭이요, 그 위는 아브라함이요” (누가복음 3장).
예수님의 계보는 마태와 누가가 기록한 족보에서 똑같이 아브라함-이삭-야곱-유다-베레스로 이어진다. 베레스는 유다와 며느리 다말 사이에 태어난 쌍둥이 가운데 둘째 아들이다. 유다가 그토록 지키려 애썼던 셋째 아들 셀라, 그의 죽은 본처 수아가 낳은 아들이 아니라 며느리와 동침해 낳은 베레스를 통해 메시야의 족보가 이어진 것이다.
창세기 37장은 2절에서 “야곱의 족보는 이러하니라(야곱의 역사는 이러하다)”고 전제한 뒤 요셉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런데 요셉의 생애 가운데 느닷없이 유다의 치부가 끼어들어 흐름이 어색하게 읽힌다. 39장은 애굽에서 요셉이 고난 당하는 장면이 계속된다.
하나님의 언약에 따라 이스라엘 온 가족을 구원하기 위해 애굽에 미리 보내진 것이 요셉의 이야기였다. 그 에피소드 중간에 구원 받아야 할 죄인의 표본으로 유다가 등장한 것이다.
이처럼 창세기 38장은 인간들의 악함으로 뒤범벅이 돼 있다. ‘옳도다’라는 단어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옳다는 표현이 가능한 것은 사람들끼리의 선악판단이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의 언약이 그 사건들 가운데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약성경의 족보는 역사의 기록이기도 하지만, 여호와 하나님의 언약이 펼쳐진 것이다.
십자가의 피는 아담 이래로 종말의 날, 인류 맨 마지막에 구원 받은 성도의 허물까지 덮어버렸다. 창세 전에 선택 받은 자의 죄를 그리스도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대신 짊어지셨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예수께서 받은 고난, 십자가에서 죽임을 당한 그 일 때문에 성도에게 ‘옳다’고 여김을 받는 일이 가능해진 것이다.
따라서 성도는 일상 가운데서 ‘나는 옳다’고 핏대를 세우는 자들이 아니라, 자신의 악함을 끊임없이 발각 당하고, 그것을 덮는 어린양의 피 아래로 늘 침잠하는 자들이다.(사장/편집인)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