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계정 찾기 다시 시도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유길영 시

young2017
033DBE0F-E0A9-418A-AAE8-F7973DE7979E
56489
Y
메뉴 닫기
오늘 방문자 수: 252
,
전체: 397,292
토론토, 시인
[email protected]
메뉴 열기
young2017
유길영
229234
9196
2025-01-09
꿈속인가, 아직 오지 않은 봄을 기대하는 나는

 

 

 

 

꿈속인가, 아직 오지 않은 봄을

기대하는 나는

아직 꿈속에 있나

 

 

 

수렁 속 같은 나의 머릿속

 

 

외딴섬에서

외치는 내 절규는 메아리도 없이

바람에 스미어 파도에 밀려간다

해변에 놓인다

 

나의 열망이 수렁 속에 빠진 두 발처럼

빠져 나오려 허우적거리지만

허우적거릴수록 깊히 빠져만 간다

 

해변에 올라서면

끝나는 육지가 시작 되는 곳

바라보면

끝나는 바다가 시작 되는 곳

하나가 끝나고 또 하나가 시작되는 곳

자신이 끝나고 또 하나의 자신이 시작하는 곳

 

 

해변

시작과 끝이 그곳에서 서로에게

끝이며 시작하는 곳

지금 나는 이곳에서 갈 길을,

끝을 선고하고

시작을 선언해야 한다.

 

 

꿈속인가

아직 오지 않은 봄을 기다리는

나는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78850
9196
2024-12-18
무당벌레를 보다가

 

아침에 일어나 야채를 썰고 계란후라이를 하려는데 작고 예쁜 무당벌레(ladybug) 한 마리가 나에게 인사를 하는듯한 몸짓이다. 나는 보이지 않는 내 얼굴의 미소를 마음 속에서 그려본다. 왠지 뭔가 반가운 무엇을 마주하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그를 계란 위에 올려놓고 얼른 사진기를 가져와 몇장을 찍고는 다시 처음 그를 발견한 창가에 내려 놓는다. 

 

 

계란을 깨서 달구어진 후라이팬에 넣으니, 튀겨지는 소리에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의 어느 시작하는 노래소리가 잠시 연상된다. 그들의 노래로는 <Another Brick in the Wall>을 좋아한다. 그 노래의 음률을 머릿속에 그린다. 아마도 아이들의 목소리 때문인지, 영화 <Dead Poets Society>가 생각나고 로빈 윌리암스(Robin Williams)의 장난기와 슬픔이 잠긴 얼굴이 떠오르고, 그러다가 내게서 오늘 아침의 내 모습은 어떨까 하는 호기심이 일어났다. 
다된 계란 후라이를 접시에 올려놓고, 커피포트의 커피를 잔에 딸어서 책상 앞에 갖다놓고, 사진기를 들고 화장실 거울 앞에 서서 내 얼굴을 바라본다. 

 

숱이 적어저가는 머리털이 먼저 보인다. 무표정의 표정이 보인다. 살짝 웃어본다. 웃는 표정이 거슬리지는 않다. 엊그제 그 초조하게 속을 태우며 고국에서 진행되는 윤설열 탄핵이 가결되기를 기다리던 얼굴이 저 속에 들어 있다. 그의 어처구니 없고 무모한 판단 때문에, 어쩌면 지금 이 세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두 전쟁 위에 또 하나의 전쟁이 벌어졌을 수도 있었을 만큼 그런 큰 사태가 몇이나 될까? 참혹한 전쟁이 고국에서 일어난다고 상상할 수도 없는 그런 사태가 일어날뻔 한 것이었다. 
사실상 불의(不義)와의 전면전이 이제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불의의 얼굴이 확실히 드러났기에, 수많은 정의(正義)의 사도들이 이제 망서림 없이 불의를 말하며 세상을 밝게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나는 믿는다. 나는 멀리서 인터넷을 통하여 탄핵 가결의 소식을 초조히 기다리고 있었고, 마침내 탄핵 가결 소식에, 사람과 사람들 사이에서, 그리고 광장에서 광장으로 일어나는 불(火 fire)의 함성과 함께 빛(光 light)으로 일어나는 함성을 들었다. 빛의 함성으로 일어나는 희망의 불을 보았다. 지금 고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정의(正義)의 불과 희망의 빛을 나는 보고 있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52711
9196
2024-12-09
서늘한 장미, 노란장미

 

장미 장미 노란장미 
십일월의 노란장미 
북풍에 떨지 않고  
미풍에 떨지 않고 

 

장미 장미 노란장미
내 마음에 노란장미 
외풍에 꺽이잖코 
내풍에 떨지 않는 

 

아픔마저 사랑하는 
십일월의 노란장미 
서늘한 장미,  
노란장미 



옆집 이웃이 노란장미를 자기 땅에 심었지만 심은 의도는 지극히 우리들이 바라보며 즐겁기를 바라는 마음인 것을 나는 안다. 왜냐하면 그 이웃이 들고나는 쪽에서는 이 장미가 잘 안보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노란장미는 올해만 해도 내 기억에 두 번 이상 꽃을 피운 것 같다. 요새의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 적은 없지만 언제라도 영하로 떨어지고 흰 눈이 이 노란장미 위에 내릴 것 같다. 오늘이 11월 27일이니 이건 분명 이곳의 겨울인데 말이다. 
이렇게 쓰다가 괴테의 <들장미> 가 생각났다. 

 

소년이 말했네, 널 꺽을 테야 
들에 핀 어린 장미! 
장미가 말했네, 널 찌를 테야 
영원히 나를 생각 하도록, 
그냥 당하지 않을 테야. 
장미, 장미, 붉게 핀 어린 장미 
들에 핀 어린 장미. 

<들장미> 괴테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26528
9196
2024-11-27
호박죽 연가

 

아까 먹은 호박죽이 입안에서 맛의 여운으로 울린다. 
이 호박죽을 끓이고 나서 보니 금빛이 인상적이다. 
이는 마음 속으로 지난번에 역시 
내가 끓인 호박죽 색과 비교하니 그럴 것이다. 
이번 호박 크기도 속 살 색깔도 지난번 것과 아주 비슷한데, 
지난번에는 찹쌀가루를 5숟갈 넣었고, 이번에는 3숟갈 넣었다. 
지난번 것은 밋밋한 맛이 고요한 여운이었다면, 
이번 것은 맛의 울림이 고즈넉한 풍경 소리, 
처마에 걸린 풍경이 스치는 바람에 한 번 울리며 멎어가는 여운이랄까? 
한참이 지났는데도 그 맛이 입안에서 그런 여운으로 울리고 있다. 
지난 것 보다 더 달아서 그런가? 
한 번 더 먹어야겠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21266
9196
2024-11-18
그해 여름 그날

 

그해 여름에 내가 본 것은 
투명한 조약돌이었다. 
그것은 심연의 바다에서 주워 올린  
심연의 빛과 어둠을 담고 있는 
투명한 조약돌이었다. 
그날, 
수평선 위의 파아란 하늘에는 
흰구름이 두둥실 떠 있었고 
그것을 바라보는 내 가슴에도 
흰구름이 두둥실 떠 있었다. 
투명한 돌이 흰구름 처럼 떠 있었다 
푸른 하늘에.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21076
9196
2024-11-11
<섬/가정 Island/Home>감정에서 감수성으로



아침커피를 내리며 레몬즙을 짜내다가 레몬의 씨앗이 부엌 마루 위로 튀었다. 그 씨앗이 떨어져 마루바닥에 부딪치며 나는 소리가 마치 얼음장 위에 떨어지며 부딪치는 소리 같았다. 그 옛 어릴 적 겨울날 얼어붙은 미나리깡에서 팽이 치는 나를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미나리깡에 동네 우물가에서 사시사철 쓰고 남은 허드렛물이나 빨래하고 남은 물을 막아놓고 미나리를 심어 채소처럼 길러 먹는 것이다. 얼음장 밑에는 푸른 미나리가 얼음 속에 함께 얼어붙어 있다. 

 

팽이는, 무딘 톱으로 울타리 기둥 마른 소나무를 자르고 정지칼로 다듬어 그 뾰쪽한 중심에 헌 못 하나 찾아서 박으면 팽이가 되는 것이다. 그 시절 시골에서는 헌 못 하나도 귀하게 여기며 쓰던 시절이었다. 길쌈하며 자투리로 남은 모시 끈을 꼬아서 마른 소나무 가지에 매어 채를 만들어 얼음 위에서 팽이를 치는 것이다. 얼음 위에서 치는 팽이가 마른 땅 위나 학교 교실 마루바닥에서 보다 그 중 제일 잘 돈다. 

 

레몬 씨알이 마루에 떨어져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옛날을 회상하기 전에 요새 마무리한 아상블라주, <섬/가정 Island Home> 이라고 이름 지은 작품을 생각하고 있었다. 
왜 그런 이름을 붙였을까? ‘가정 home’이라는 단어가 떠오른 것은 전에 사용된 구성 물품들이 가정에서 쓰인 것이기에 ‘가정’이라는 단어가 맴돌았었다. 지붕 같은 두 판의 사진에서 보는 왼쪽 부분은 전에 침대 부분으로 그리고 오른쪽 부분의 서재의 책장으로 쓰인 것이다. 그리고 가정의 부엌에서 쓰는 ‘섬 island’ 같은 ‘독립도마’와 바닥으로 쓰인 판이 마치 집을 지을 때 쓰는 바닥 재료 같은 것들이 ‘가정집’을 형성할 때 쓰이는 사물들이기에 ‘가정’이라는 감정이 드는 것이다. 

 

 

 

그리고 왼쪽 기둥과 벽 역할을 하는 나무는 라일락나무의 군집이며, 둥그런 나이테들은 모과나무와 뽕나무이다. 이 나무들이 다 우리 정원과 이웃들의 정원을 기르고 가꾸며 가지치기나 잘라낸 나무들이며, 나는 이것들을 보고 수집할 때 일어나는 생각들로 그런 모양들을 만들어 낸 것이다. 색칠한 것들이 대부분 모과나무인데, 우리집 마당에서 자라는 모과나무 한 그루는 토질과 옆에 가깝게 자라는 나무들과의 영향 때문인지 가는 줄기가 수없이 나 자라는 것이다. 마치 한 나무가 숲이나 이루려는 듯이 줄기줄기가 나와서 자라서 어느 날 나는 가지치기를 하여 버리려다, 문득 이 길다랗고 낭창낭창한 가지로 둥그런 원을 만들면….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낭창낭창’한 느낌의 감정이 그것으로 그치지 않고 새로운 뭔가로 이끄는 감성이 마음에서 일어나 둥그런 원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그러니까 ‘느끼는 감정에서 일으키는 감수성으로(in sense to sensibility)’ 발현해 나아가는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시작과 끝이 있는 선(線, line)으로 있던 나뭇가지가 시작과 끝이 없는 원(圓, circle)으로 태어나서 시작점과 끝점이 없이 끊임없이 돌고 도는 선으로 존재하는 한 원으로 태어난 것이다. 내가 원을 만들 때 느낀 또 하나는 내가 그 나뭇가지를 구부려 휘게 할 때 가지가 아프겠다는 아주 조금이지만 스쳐가는 감정이 들었다는 것이다. 이 아픔의 감정은 뽕나무 껍질을 벗길 때 조금 더 많이 들었다. 껍질이 벗겨진 허연 가지는 마치 몸의 살갗이 벗겨지는 아픔과, 깨끗한 느낌의 순수 감정이 교차하는 것이다. 그것을 구부리며 그 가지에서 벗겨진 껍질을 끈으로 삼아 원을 만들며 느끼는 그런 감정은 미세하지만 새로운 지각(知覺, perception)의 영역으로 나아가는 경험이었다.  

 

또 하나, 거의 마무리 되어가는 중에 내가 느낀 것 중의 하나는 ‘섬 아일랜드’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섬ㅡ태어나면서부터 거기에서 바람과 파도, 구름과 비와 빛을 받으며 바람이 전해주는 세상 이야기를 고독하게 들으며 서 있는 섬, 그래서 섬이며, ‘가정(home)’은 처음 시작할 때부터 느꼈다. 그래서 나는 이 작품의 제목을 <섬/가정>이라고 붙여 보았다. 

 

섬/가정ㅡ 우리들 하나하나는 하나의 섬이며 가정의 본원적 시작이며 항상 가정인 것이다. 혼자이며 한 사람 가정이고, 한 사람 이상이라면 그대로 또 가정이다. 
가정ㅡ 낳고 떠나고 돌아오는(그것이 하루만의 일이든, 긴 시간이든) 집이며 가족과의 삶이며 또는 요즈즘 시대에 혼자 이루는 '혼가족'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그런 가정이다. 
가정은 외로운 섬이며, 따뜻한 섬이며, 때로는 고독한 섬이다. 그래서 가정은 섬이기도 한 것이다. 

<섬/가정 Island/Home>은 침대 부분, 책장 부분, 부엌의 섬 도마, 라일락나무 줄기와 가지, 뽕나무 가지, 뽕나무 껍질 새끼줄, 모과나무 가지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물건들의 지난 용도에 내재해 있는 그 사물들의 역사(history)ㅡ그 사물들이 피어나고 자라며 또는 만들어지고 쓰여진 관계나 상황ㅡ와 함께 그것들의 색이나 형을 순간순간 느끼며 조합해 나아가며 감정에서 감수성(sense to sensibility)으로 나아감을 말하고 있는 것일 것이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20772
9196
2024-10-30
그때도 지금도 가을이 가고 있다

 

 

그때도 지금도 가을이 가고 있다.
햇살이 내 마음속까지 비추고 있다.
파아란 하늘에 어리는 노오란 잎새들이 내 마음을 휘어감는다.
'그래 가을이지!'
무한한 파아란 하늘이 나를 안아주며
노오란 잎새 선물을 한아름 안겨준다.
가을,
이런 가을이 그때도 지금도 가고있는 것이다.
변화이고 흐름이다.
차겁고도 시원한 한줄기 바람이
내 마음에 안긴 잎새들을 뚝 뚝 떨어뜨린다.
푸른것은 푸른것데로
붉은것은 붉은것데로
내 마음의 가을에서 뚝 뚝 떨어진다.
가을이 가고 있다.
이제 곧 하얀 눈이 내리고
산 아래 대지에 하얀 눈이 쌓일 것이다.
그때도 지금도 가을이 가고 있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20402
9196
2024-10-15
오늘의 작문연습

 


오늘 아침의 작문연습이다. 
맑은 아침, 바람 한 점 없이 내리는 맑은 빛을 바라보며, 나는 뒷마당 바깥마루(deck) 위에서 랖탑 컴퓨터를 키고 이 글을 쓴다. 

 

주홍빛 가을꽃 사이에서 날으는 벌 한 마리를 보았다. 온통 푸르고 푸른 녹색의 향연에서 주홍빛 가을꽃들이 말없이 나를 관조 하고 있는듯하다. 이제 한자락 바람이 불고 주홍빛 가을꽃들이 살며시 움직이더니 다시 고요에 정좌하고 있다. 멀리 기적이 울고 이내 주위의 소음들이 내게 속삭인다. 귀뚜라미 소리 같은 것이 내 귀에서 길게 울리고 있다. 이것은 내게서 울려오는 소리 같다.  이 소음이 있는 풍경을 사진에 담아 보아야겠다. 소리는 담지 못하겠지만. 

 

사진 찍고 보면 그 결과에 거의 항상 만족하지 못한다. 
빛이 마음에 안 들거나, 엉뚱한 곳에 초점이 맞추어 지기도 한다.  내 카메라를 자동 모드에 놓고 쓰다 보니 사각틀(frame) 안에 보이는 모든 것들이 얼굴을 내밀고 있어 내가 관심을 가졌던 그것이 이 사진에서  ‘아무것이’ 되어 버린다. 
자동의 특색을 잘 알아서 색과 형의 구성을 결과를 예상하며 셔터를 눌러야 한다. 그렇게 주의 하지 않고 찍은 사진을 어쩌다 실수로 저절로 찍힌 사진만 못하다. 가끔 저절로 찍힌 사진을 보며 놀라는 일이 있는데, 그것은 무심함에서, 그러니까 의도 없이 찍힌 사물에 서려있는 그 무심함의 극치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한 자락 서늘한 바람이 내 얼굴을 스치고 지나간다. 
나는 맑게 빛나는 이 시월의 아침에 앉아서, 
시월이 노래하는 시월의 노래를 듣는다. 
시월이 노래하는 빛의 노래, 
바람의 서늘한 노래, 
가을꽃 주홍빛 노래,  
이 노래는 무언(無言)의 노래이다, 
시월에 시월이 부르는.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19092
9196
2024-10-04
어제의 일이 오늘에 살고

 

어제 산행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고속도로에서 만난 줄기차게 내리는 비는 내가 운전하면서 처음 경험하는 엄청나게 쏟아지는 비였다. 비가 얼마나 세게 앞 차창유리를 때리는지 먼지지우개가 빠른 속도로 내리며 부딪치는 빗물을 좌우로 치워도 치워도 앞이 안보일 정도였다.  많은 차들이 비상등을 깜박이며 달리고, 속도측량기를 보니 내 차는 시속 60km 로 달리고 있었다. 집에 도달할 거리는 한 5-6km 남았을까. 


아내가 집에 있는 둘째에게 전화를 하여 비가 많이 오니 창문들을 다 닫아라 하니, 둘째는, 여기 비가 아니온다 하며 하늘이 시커멓게 곧 비가 올것 같다 한다. 


산행 중에는 비가 내리지는 안았다. 산행 끝 무렵에 천둥소리가 요란하게 여러번 들려왔다. 숲속이라선지 한낮이라선지 번개 치는 모습을 보지는 못하였다. 산행 가기 전에 본 일기예보는 그 시간쯤에는 벌써 비가 지나가고 해가 뜨는 시간이었지만 조금 늦어지는 듯 했다. 가뭄 끝이라서 비가 내리기를 은근히 바라며, 나는 비가 내리면 맞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다. 가뭄에 타는 메마른 잔디를 보면 마치 나의 어느 곳이 말라가는 느낌이 들기도 하였기에 그런지 나는 산행 중에 비가 내리면 비를 나는 비를 맞겠다고 생각한 기억이 난다. 


그런데 산행 후에라도 비가 왔으니 마음이 시원하였다.


어제 산행에서 다시 만난 내가 좋아하는 구간을 걸으면서, 그 곳을 걸을 때마다 생각해온, 내가 영화를 하나 만들면 그건 Love Story이며 내가 좋아하는 그 구간을 꼭 이 영화 넣고 싶다는 생각을 또 했다. 이 곳은 푸른 상록 소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으며, 특히 눈 쌓인 겨울 풍경이 아름다운 숲속이다. 이 구간은 오르막 길을 오르고 나서 경사가 없어지는 곳이다. 산 중턱에 거의 수평으로 지나가는 숲길 왼쪽은 상록숲 오르막이며 오른편은 상록숲 내리막에 끝에는 숲속의 시냇물이 흐르며, 우리는 이 길을 지나가며 물 흐르는 소리를 듣게 된다. 우리가 오름 길에서 상쾌한 시냇물 소리를 들으며 힘겹게 올라와서 편하게 걸어갈 수 있는, 그리고 아직 씌어지지 않은 Love Story의 대사와 인물들을 상상하며 지어내는 일이 마음속에서 벌어지는 그런 길이 이 구간이다. 내가 영화를 만들게 되면, 아마도 이 영화의 시작이 이 구간이며, 끝도 이 구간이며, 진실로 사랑의 문이 열리는 순간도 이 구간을 걷는 것이며, 오름길에서 사랑의 갈등이 표출되는 곳이며, 등등을 상하게 되는 곳이다. 


‘여기가 내가 만들고 싶은 영화에 꼭 넣고 싶은 길이야.’ 라고 아내에게 말하니, 

웃으며 ‘언제 만들 건데?’ 라고 말하는 뉘앙스에 담긴 것은, ‘만들 수 있겠어?’ 라고 하는 것 같이 들린다. 

옆에 같이 가던 커플도 웃으며 나를 바라본다. 우리가 힘들어 올라왔기에 편한 이 지점에서 잠시 쉬엄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저 아래에서 들려오는 시냇물소리가 시원하다. 우리는 다시 걸어간다.   


어제의 일이 기억에서 오늘에 살고 있다. 

앞으로 하고 싶은 일과 함께!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young2017
유길영
118955
9196
2024-09-28
오늘의 작문 연습

 

 

나는 뒷마당 바깥마루(deck)에 파라솔을 펴놓고 야외책상 위에서 이 글을 쓰고 있다. 오늘의 작문연습이다 


비가 내릴 참 인가보다. 

아니, 이미 내리고 있다가 그치고 있다. 

처마물 소리가 톡 톡 톡 드린다. 

일기 예보를 보건데 오늘 오후 황혼녘까지는 비가 오락 가락 내리다 말다 할 것 같다. 


마당의 분홍빛 가을꽃 더미에 벌들이 분주히 날으는 것을 보면 구름 짙은 하늘이지만 금방 비가 내릴 것 같지 않다. 


들깨꽃이 피고 있다. 냄새들 중에 들깨 냄새만큼 나의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없을 것이다. 그때가 연중의 이맘때이었다. 나는 막 논산 훈련소에 입소하였고, 우리는 그 무거운 M1 소총을 들고 훈련화 발 밑에서는 먼지가 풀석풀석 일어나는 황톳길을 뛰면서 훈련장으로 달려가는 중이었다. 저 만큼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서 한 농부가 들깨단을 뒤집어 놓는 일을 하고 있는데, 풍겨오는 그 들깨 냄새에 나는 눈물을 주르르 흘렸다. 왜 눈물이 주르르 났을까? 지금은 다만 기억에 그저 눈물이 주르르 흘러 나왔다는 기억뿐이지만, 아마도 집 생각, 어머니 생각, 아니 그 순간에 무거운 총을 들고 뛰는 것이 힘들어서 주르르 흘린 눈물이었을 것이다. 헉헉거리며 한 발도 뛰기 싫은 순간 순간에, 뛰어가라는 명령을 어길 수 없어서 전우들과 함께 뛰고 있는 것이다.  그래도 전우들과 함께 뛰어가고 있기에 주저앉지 않고 뛰었을 것이다. 혼자라면 도저히 뛰지 못했을 것이다. 


파라솔 위에 떨어지는 빗소리가 운치 있게 들린다. 거기에 처마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소리와 참새 지저귀는 소리 그리고 멀리 차 지나가는 소리가 묘한 조화를 이루어 들린다. 처마에서 떨어지는 낙숫물소리는 처마 홈통을 고쳐야 한다는 신호이다. 홈통에서 물이 새며 떨어지는 소리이다. 


“떨어지는 낙숫물소리”에 이제는 아련한 추억이 서려있다. 군대 제대하고 난 후 시절이다. 지금은 이 세상에 없는 친구 강ㅇㅇ가 “길영아, 오늘 ㅈ대 ㅎㅅ이 강의 듣는데 가자!” 하여 우리는 그 강의실에 갔다. 그런데 그 강의시간에 학생들의 시 발표가 있었고, 그 중의 하나가 “떨어지는 낙숫물소리”였을 것이다. 요지는 ‘낙수소리”라고만 해도 되는데 왜 구태여 “떨어지는”이나 “물”이 들어가도 괜찮을까?였을 것이다. 교수님의 말씀에 그것이 괜찮은 것은 그 시(詩)에서는 운율이 중요시 되기 때문이라고, 하신 것 같다. 하여튼 그런 식으로 내 기억 남아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 학교 앞 어느 주막에서 술을 마시고…… 

그때 그렇게 친구들과 어울렸던 그 시절이 금조각 보다 더 귀한 보석으로 내 추억의 보고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 가만히 젖어보는 그 시절의 바람에 실려오는 들깨 내음, 최루탄 냄새, 그리고 낙숫물소리.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더보기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