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ON
  • samkang39

    강신봉 칼럼

    캐나다 加人 강신봉
    전 캐나다한인총연합회장, 전 토론토한인회장, 요크한국인학교 설립교장, 김치캐나다사장, 전 스코필드박사동상건립위원장,전 무궁화사랑모임창립회장, 토론토흥사단창립지부장, 대한민국국민훈장목련장, 역사문화원장

    캐나다 문협회원.현 GTA한카노인대학장
    http://skang3441.tistory.com/
    [email protected]

    • 5
    •  
    • 83,365
    전체 글 목록

‘설마’의 역사 500년(14)-을사보호조약 고종의 하야(상)

 
 

 1905년 을사보호조약: 100여 년간 매관매직과 가렴주구와 부패와 무기력으로 하향길을 달려오던 조선왕조사가 드디어 숨을 거두어야 하는 종말에 다가왔다. 일본정부의 강요와 매국노 신하들에 의해 을사보호조약이 체결 되었다. 그러니까 조선은 이제부터 일본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나라가 되었다. 


일본은 미국신문에 “조선민족은 정치적 지능이 좀 모자라서 일본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민족”이라고 광고를 내었다. 그 때에 미국과 일본은 서로 정치쇼를 하였다. 일본은 조선을 그리고 미국은 필리핀을 지배한다는 바터제(Barter)의 지지정책을 서로 부추기고 있었던 것이다.


나라를 팔아먹는 일에 앞장을 선 을사오적(乙巳五賊) 대신들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이완용(李完用, 1856-1926) 당시 50세 학부대신 이후 후작, 중추원 고문 겸 부의장
이근택(李根澤, 1865-1919) 41세 국부대신 자작, 중추원 고문
이지용(李址鎔, 1870-1928) 36세 내무대신 백작, 중추원 고문
박제순(朴齊純, 1858-1916) 48세 외부대신 자작, 중추원 고문
권중현(權重顯, 1854-1934) 52세 농상공부대신 자작, 중추원 고문


당시 수상격인 참정대신 한규설, 탁지부 대신 민영기, 법무대신 이하영은 조약에 반대하였다. 조약 이후 한규설은 일본의 강압으로 물러났고, 박제순이 참정대신이 되었다. 을사오적은 매국노의 대명사로 이후 숱한 암살위협을 받았다. 이완용은 1909년 이재명에게 칼을 맞았다. 

 

 을사조약의 내용은?


을사조약은 1905년(광무 9)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한국 정부를 강압하여 체결한 조약이며, 공식 명칭은 한일협상조약(韓日協商條約)이다. 


 제1조: 일본은 한국의 외교 관계를 감리•지휘한다.
 제2조: 한국은 일본을 통하지 않고는 조약을 맺지 않는다.
 제3조: 한국 황제 아래 일본이 임명하는 통감(統監)을 둔다.
 제5조: 일본은 한국 황실의 안녕과 존엄 유지를 보증한다.

 

 을사조약의 배경


1904년 1월 대한제국 정부는 엄정 중립국임을 해외에 선포하여, 당시 복잡한 국제 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노력을 보였다. 하지만 1905년 청ㆍ일 전쟁이 끝나면서 많은 이권을 차지한 일본은 영국과 영ㆍ일 동맹을 체결하여 국제적으로도 조선에 대한 우위권을 한층 강화해 나갔다. 


이러한 정세를 이용하여 일본은 특명 전권 대사 이토 히로부미를 파견하여, 하야시 공사와 주한 일본군 사령관 하세가와 요시미치를 앞세워 외교권 박탈을 내용으로 하는 조약의 체결을 강행하였다.


 이 때 한규설ㆍ민영기ㆍ이하영 등이 반대를 하였으나, 학부 대신 이완용을 비롯하여 군부 대신 이근택,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 대신 박제순, 농상공부 대신 권중현 등 소위 을사 오적의 적극적인 찬동으로 대한제국 외교권의 접수, 일본 통감부의 설치 등을 중요 내용으로 하는 을사조약이 조인되기에 이른다.

 

 을사조약의 체결 결과


을사조약이 체결된 후 일본은 신설한 통감부로 모든 사무를 이양하고, 각지에 있던 영사관은 이사청으로 개편하였다. 이 때의 통감부는 종래 공사관에서 맡았던 정무 이외에도 조선 보호의 대권, 관헌의 감독권, 그리고 병력 동원권도 보유하였다.


하지만 이 을사조약은 협상 대표에 대한 고종의 위임장과 조약 체결에 대한 비준서 등의 국제 조약에 필요한 형식적인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 그리고 한글과 일본글로 된 조약문의 첫머리에도 조약의 명칭이 없이 그대로 비어 있어, 국제 조약으로서 인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민족의 반항운동


①고종은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여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전 세계에 알렸다.
② 장지연은 '이 날에 목놓아 통곡하노라(시일야방성대곡)'라는 사설을 황성신문에 실어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알렸다.
③ 민영환과 조병세는 스스로 목숨을 끊어 일본 침략의 부당성을 알렸다.
④ 최익현, 민영환, 조병세 등이 조약에 반대하는 상소를 통해 저항하였다.
⑤ 을사조약 체결 이후 의병 활동이 활발해져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⑥ 대표적인 의병장으로는 신돌석, 최익현, 민종식 등이 있다
⑦ 의병들은 총이나 신식 무기가 부족하여 창이나 농기구를 들고 싸웠다.
⑧ 일본에 의해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 활동에 참여하면서 전투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⑨ 1910년 강제 합병 이후 활동이 어려워지자 만주의 간도와 연해주로 가 독립군이 되었으며, 대규모 독립 전쟁에 참여하여 승리를 거뒀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